환경부‧지자체 예산 20억원, 약 1만2500대 교체 전망
전체 보일러 시장 1% 수준, 미세먼지 저감 효과 갸우뚱

[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연일 계속되는 미세먼지는 국내 에너지산업 전반에 큰 변화를 주고 있다. 석탄에서 재생에너지‧천연가스로의 전환이라는 정부 정책 방향 아래 이를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세부적 계획들이 수립돼 추진 중이다.

지난 2015년 서울시에서 자체적으로 추진되던 ‘콘덴싱보일러(가정용 저녹스보일러) 보급 사업’이 지난해부터 중앙 정부인 환경부와 함께 국·시비 매칭(5:5)으로 지원되고 있는 것도 미세먼지 이슈 이후 나타난 에너지기기산업 변화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가정용 가스 보일러 중 보다 친환경적인 제품을 소비자가 구입하도록 권장, 유도하자는 취지로서 전체 예산은 20억원, 약 1만2500대 교체를 목표로 진행 중이다.

그렇다면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했던 지난해 사업 성과는 어땠을까. 정확한 통계는 나오지 않았지만 보일러사들이 목표했던 물량은 대부분 채운 것으로 전해졌다.

13일 A보일러사 관계자는 “수도권 대리점을 통해 확인해본 결과 동절기 전인 지난해 9월 중순 서울지역은 90%이상, 타 지역 역시 상당 부문 물량을 채운 것으로 나타났다”며 “12월을 기점으로 정부 및 지자체 예산은 대부분 소진됐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올해 역시 지난해와 같이 약 20억원(국비 10억원, 지방비 9억8000여만원)이 지원되지만 보일러업계는 ‘아직 목이 마르다’는 반응이다.

현재 정부 예산으로 기대되는 콘덴싱보일러 교체수요는 약 1만2500대로서 연간 보일러시장 규모 120만대 수준의 1%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B사 관계자는 “환경부와 지자체가 함께 사업을 추진한 뒤로 소비자들의 관심도 많아 졌고 홍보 역시 수월히 진행되는 측면이 있다”며 “하지만 당초 정책 목표였던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하기 위해선 예산이 대폭 증액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콘덴싱보일러에 대한 정부 정책의 일관성 부족도 아쉬움으로 남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난 2009년부터 ‘친환경 주택의 건설 기준 및 성능’ 규정 시행으로 20가구 이상 공동주택은 콘덴싱 보일러의 설치가 의무화됐다. 하지만 설치만 의무화 됐을 뿐 교체시에는 일반 보일러로 전환해도 아무런 제약이 없는 상황이다.

A보일러사 관계자는 “2009년 당시에는 에너지 절감 이슈로 인해 콘덴싱 보일러 의무화 정책이 추진됐다”며 “이 정책으로 인해 설치된 콘덴싱 보일러들의 교체시기가 앞으로 다가올텐데 추가적인 정책지원이 없다면 일반보일러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 관계자는 “콘덴싱보일러는 수도권 대기질 개선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에너지절감, 즉 가스비 절감이라는 혜택도 누릴 수 있다”며 “당장 눈앞의 이슈에 따라 단기적 지원책이 실행돼선 안된다”고 말했다.

보일러업계 관계자는 “영국의 경우 보조금, 세제감면, 설치의무화 등의 제도를 통해 현재 콘덴싱 보일러 보급률이 90%를 넘는다”며 “한국은 이제 본격적인 콘덴싱 지원정책의 첫발검을 내딛은 만큼 당장 설치무화까지는 아니더라도 일관성 있게 지원책을 유지하며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친환경 콘덴싱보일러는 미세먼지의 원인이 되는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NOx)배출량이 40ppm 이하로 일반 보일러(85∼173ppm)보다 50%이상 적고, 열효율은 뛰어나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다.

현재 지원하는 친환경마크 인증 친환경보일러 모델은 ㈜귀뚜라미, ㈜알토엔대우, 린나이코리아㈜, 롯데알미늄㈜기공사업본부, ㈜경동나비엔 등 총 5개 회사 43종의 제품이 있다.

콘덴싱보일러는 물을 한번 데운 뒤 생겨난 뜨거운 배기열을 연도를 통해 밖으로 바로 내보내지 않고 응축시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보일러다.

일반보일러에 비해 최대 28.4%의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미세먼지의 주범인 질소산화물 배출을 1/5 수준으로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온실효과의 주원인인 이산화탄소 배출도 크게 낮출 수 있다.
 

▲ 일반 보일러 및 친환경 콘덴싱보일러 비교(자료=서울시청)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