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기반 석유가스 자원, 국부창출 원천으로 삼아
개발 제약요소 제거, 수출지향적 인프라로 전환
지난해 천연가스 순 수출국 전환, 올해도 증가 예상

[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지난해 3월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 미국 에너지정책 방향은 기존 ‘환경 친화적 에너지 개발’에서 셰일혁명 기반의 석유・가스 에너지 자원을 국부 창출의 원천으로 삼겠다는 방향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자국의 풍부한 셰일자원 개발 제약요소를 제거해 자국의 에너지생산・공급능력을 확충하고, 수입지향적 에너지 수송인프라를 수출지향적 인프라로 전환 중이다.

또한 연방공유지 내 유・가스 시추 금지 완화 및 북극권 국립 야생보호 구역에의 자원개발 확대를 결정하는 한편 천연가스 수송망 확충과 LNG 수출설비 확충을 추진하며 에너지 수출의지를 적극 표명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기후변화정책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미국의 에너지지배(American Energy Dominance)’ 구상은 올해 산유국(OPEC 국가 등) 중심의 국제석유 감산활동의 효력과 세계 천연가스 공급구조 개편에 변화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미국의 석유・가스 공급 능력(LNG 액화설비, 파이프라인 배설 등) 확충에 우리나라 인프라 기술 진출 가능성을 타진하는 한편 미국산 석유・LNG 비교우위를 면밀히 추적해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미국 사빈 패스 LNG 카고가 국적선 SM Eagle호에 선적되는 모습

◆ 셰일가스 수압파쇄공헙 규제 폐지

우선 미국 셰일가스 개발에서 논란이 돼 왔던 수압파쇄공법 활용금지 규제 폐지가 추진됐다.

미국 내무부 산하 토지관리국(BLM)은 수압파쇄법 관련 규제 폐지를 위한 신규 최종 폐지안(New Final Rule)을 발표하고, 지난해 12월 22일 이를 연방관보(Federal Register)에 게재했다.

이에 따라 2015년 오바마 행정부 시절 수립된 ‘연방 공유지 및 원주민 토지에서의 수압파쇄법 적용 금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수압파쇄법 관련 규제(hydraulicfracturing on federal land)’는 지난해 12월 29일부터 효력을 상실하게 됐다.

BLM의 수압파쇄법 관련 규제 폐지는 미 연방기관의 에너지 관련 규제를 재검토해 불필요한 준수비용을 발생시키는 규제를 폐지하고, 자국 내에 화석연료 및 에너지 생산을 증대시키기 위한 미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Executive order, 2017년 3월 30일)의 이행결과라고 밝혔다.

BLM은 지난해 7월 규제 폐지를 위한 제안서를 발표하고, 9월 25일까지 의견 수렴기간을 가졌고, 의견수렴 기간 동안 200개 이상의 단체와 개인이 의견을 제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규제제도 폐지를 추진해 왔다고 설명했다.

▲ 파나마 운하 전경.

◆ 해상 가스 시추지역 대폭 확대 추진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 자국 내에서 해상 유・가스 시추활동이 가능한 지역을 대폭 확대시켜 나가겠다는 내용의 제안서 초안(Draft ProposedProgram, DPP)을 발표했다.

이 제안서 초안(DPP)은 미국 외변대륙붕의 90% 이상과 연방 토지 내에 유・가스 매장지 98% 이상을 대상으로 유・가스 탐사 및 개발을 허용하겠다는 것이 골자이다.

전임 오바마 행정부 시절 유전개발 시추활동이 금지돼 왔던 ‘미국 외변대륙붕 및 연방 토지’ 지역에 대해서 트럼프 행정부는 자국 내 유・가스 증산을 통해 ‘미국의 에너지 지배’를 추구하기 위해 시추활동을 허용하는 것으로 전환하고 있다.

DPP는 총 26개 해상 유・가스 매장 지역 중 25개 지역을 대상으로 47 차례의 시추권(drilling rights) 경매 계획을 포함하고 있다.

시추권(drilling rights) 경매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추진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으며 ▲알래스카 19개 ▲태평양 해안 7개 ▲미 멕시코만 연안 12개 ▲대서양해안 9개이며 알래스카의 브리스틀만(Bristol Bay)와 하와이 섬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 내무부는 ‘국가환경정책법(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에 의거해 환경영향평가보고서(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S) 초안을 마련하기 위한 의향서를 발표할 예정이며, 이달 중 공청회를 개최해 제안서 초안(DPP)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환경영향평가보고서 초안 작성에 대해 공시할 예정이다.

한편 미 내무부(Ryan Zinke 장관)는 지난해 7월 연방 토지 내 유・가스 시추 허가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시키고, 시추권 리스 경매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내용의 장관령을 공포한 바 있다.

▲ 멤브레인 형 LNG선 운전 모습.

◆ 천연가스․석탄․석유 수출 의지 표명

트럼프 행정부는 자국의 국부 창출 및 고용증대를 목표로 석유・가스 증산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천연가스 수송 및 수출역량 강화 및 새로운 신규 수출시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의 지난해 원유 총 생산량은 전년 대비 0.5MMb/d 증가한 9.3MMb/d를 기록했다.

미국의 석유・가스 생산은 Eagle Ford, Permian, Utica 등의 셰일유전 지대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새로운 석유・가스 생산공법(수압파쇄법 등) 개발・적용으로 지속적인 성장추세를 유지해 왔다.

지난해 6월 미국 본토 48개 주(Lower 48 states)의 총 915개 육상 리그 중 366개의 리그가 Permian 지역에 밀집돼 있었으며, 2017년 말 다소 하락하며 345개를 기록했으나 올해 말에는 370개로 다시 리그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 미국의 천연가스 생산량은 73.57Bcf/d 수준으로 전년대비 1.0% 증가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3~4분기 이후 천연가스 수송망(pipeline capacity) 확대로 인해 천연가스 생산량은 지난해말부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순 수출량 0.4Bcf/d을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천연가스 순 수출국으로 전환됐으며 올해 천연가스 순 수출량 규모가 2.3Bcf/d 수준에 달할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울러 올해 LNG 수출량은 2017년(1.9Bcf/d)의 수출량 보다 증가한 3.0Bcf/d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에너지 산업의 황금시대가 도래했으며 미국의 천연가스, 석탄, 석유 수출 능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의지를 표명해 왔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는 LNG 수출 확대를 통한 기대효과로서 아시아, 유럽 등 주요 수출국의 공급안정성 및 에너지 다각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해 왔다”며 “특히 무역적자가 발생하고 있는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 LNG 수출을 확대함으로써 자국의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의 석유・가스 증산 활동이 OPEC 국가들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국제 석유감산 활동의 효력을 잠식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나 미국의 석유・가스 공급능력 확충정책은 지속될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