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와 열 동시 생산, 에너지공급 안정화 기대
분산전원, 정부 100대 과제에… 경제성이 관건

[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국내 에너지정책은 기존 공급 확대 위주에서 수요 관리 강화 정책으로 변화된다. 특히 국민의 안전과 쾌적한 환경을 위한 ‘친환경 에너지정책’으로 전환이 추진되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현실적 대안으로 꼽히는 것이 바로 분산전원, 그 중에서도 자가열병합발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소비지역에서 직접 열과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사회적 이슈로 지적되는 송전문제도 해결이 가능하다.

더군다나 최근 가스공사 미수금 회수가 완료되는 동시에 설치 장려금 향상 및 전용요금 제도 마련을 위한 작업도 업계에서 꾸준히 추진 중으로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 서울 디큐브시티호텔에 설치된 자가열병합발전 설비

◆ 무시못하는 국가적 비용 편익

자가열병합발전은 소비자 거주하는 건물내에 가스엔진과 터빈 등의 원동기를 구동해 직접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분산형 에너지시스템이다. 발전소 투자부담을 줄이고 건물단위 에너지 이용효율을 극대화 시킨 고효율 에너지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자가열병합발전협의회에 따르면 자가열병합발전은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보급이 이뤄졌으며 지난해말 기준으로 240개 사업자, 총 202MW(467대)가 설치됐다.

다만 에너지 절감 및 전력피크 대응을 목적으로 2000년대 중반까지 보급이 활발했지만 2005년 이후 가스가격이 상승하며 경제성 악화로 가동률 및 보급이 정체된 상황이다.

하지만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분산형 전원의 체계적 지원 강화가 물밑에서 추진되고 있어 자가열병합발전이 지닌 장점이 향후 크게 부각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우선 자가열병합발전은 가스와 전력수요 관리 개선과 함께 정체돼 있는 가스수요를 늘릴 수 있다.

즉 계절적 편차가 적고 연중 지속적인 운전이 이뤄지기 때문에 천연가스의 동하절기 수요격차 개선 및 투자·저장비용 감소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분산형전원으로 전력부하 평준화 및 국가적 비용 편익이 발생한다.

자가열병합발전 설치시 대규모 발전소(kW당 37만원) 및 송전선로 건설비용(kW당 9만원), 송전 손실(2만원/kW당) 등을 회피할 수 있어 kW당 48만원의 편익이 발생된다.

또한 자가열병합발전 적용시 기존 가스보일러+한전 수전 대비 23%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등 대기환경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

◆ 한전 계통연계+열공급 설비로 안정성 확보

사용자 편익을 살펴보면 전력피크, 전력 누진제 경감 및 발전배열 활용으로 에너지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점이 강점이다. 또한 한전과의 계통연계와 열공급 설비의 이중화 구성으로 전력과 열공급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진 등의 재해로 인한 정전이 발생했을 경우 단위건물 내 상용발전을 통한 안정적 비상 전력공급이 가능해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자가열병합발전은 국토부에서 고시한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에서 가장 우수한 열원시스템으로 평가된 바 있다. 타 난방시스템 대비 최소 5% 이상 에너지절감 평가로 에너지절감 시스템 투자 대체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재 일본에서는 에너지 효율화 및 전기수요 평준화를 위한 전력수급 균형에 중점을 두고 초기투자 비용의 50%를 지원하는 등 자가발전을 적극 활용하는 지원책을 펼치고 있다.

독일도 열병합발전을 에너지절감 및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자가열병합발전 발전량에 대한 발전지원금(40~104원/kWh)을 10년간 또는 3만 시간에 맞춰 지급하고 있다.

자가열병합발전 관계자는 “정부 국정 100대 과제에 분산형 전원 정책 강화가 포함됐고 자가열병합발전이 향후 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일부 미흡한 경제성만 보전된다면 시장과 소비자에서 자립적으로 보급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