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본 워킹그룹, 설비 예비율 22% 수준 결정
신고리 5‧6호기 건설 여부 관계없이 안정 유지

▲ 오성 LNG 발전소 전경

[지앤이타임즈 송승온 기자] 전력정책심의위원회 산하 전문가 모임인 ‘예비율 워킹그룹’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에 포함될 ‘적정 설비 예비율’을 현재의 22% 수준으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발전량의 20% 수준으로 확대할 경우 신재생 전원의 간헐성 보완을 위해 가스터빈(G/T) 단독 운전이 가능한 LNG발전소 등의 백업설비가 필요하다는데에 의견을 모았다.

산업부는 13일 건국대 노재형 교수와 부산대 김욱 교수 등 5명이 참석한 가운데 8차전력수급 기본계획 관련 예비율 워킹그룹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자료에 따르면 설비예비율은 22%는 최소예비율 13%와 불확실성 대응 예비율은 9%로 구성되며, 최소예비율 13%는 신재생 발전의 간헐성 대비까지 고려한 수치이다.

당초 심위위는 지난달 공개한 8차 설비계획(초안)에서 적정 설비예비율을 지금보다 2% 낮춘 20~22% 수준으로 전망했다. 향후 전력수요 감소 전망과 원자력 발전 비중 축소, 신재생이나 LNG 발전 비중 확대를 고려시 예비율을 높게 가져갈 필요가 없다고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워킹그룹은 13일 예비율을 현재 22% 수준에서 더 낮추지 않기로 검토했다. 이는 8차 수급계획 때 신재생에너지 보완 설비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날 전문가들은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발전량의 20% 수준으로 확대할 경우 신재생 전원의 간헐성 보완이 필요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양수발전소, 가스터빈(G/T) 단독 운전이 가능한 LNG복합발전소 등의 백업설비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설비예비율 22%는 신고리 5‧6호기 건설 여부 등 전원믹스의 변화를 고려 시 전력수급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적정 설비예비율은 최대전력 수요가 발생하는 시점에 전력수급이 안정적으로 이뤄지기 위해 필요한 예비전력의 비율을 뜻한다.

실제 최대 전력수요가 예측한 전력수요보다 증가하거나, 발전소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력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고려한 수치이다.

적정 설비예비율의 구성은 ▲최소 설비예비율과 ▲수급불확실 대응 예비율로 구성된다.

최소 설비예비율은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 최소한으로 확보해야 하는 예비율을 의미하며, 발전기의 고장정지나 정비 및 신재생 백업설비 등을 고려해 산정한다.

불확실 대응 예비율은 미래 수요 변동, 발전소 건설 지연 등에 대비하기 위한 예비율로서 미래 수급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최소 예비율만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필요한 추가 예비율이다.

원자력, 석탄발전, LNG 등 발전원에 따라 고장정지확률 및 정비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최소예비율 수준은 전원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전은 LNG 복합 또는 석탄화력보다 단위기 용량이 크고 정비기간이 길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예비율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