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자원개발*자회사 투자액 대비 2% 그쳐
한 해 이자만 4000억 넘는데 추가 차입 불가피
대형화 정책 실패 탓, 정부 투자 확대 요구도 제기

▲ 석유공사가 내년에 수천억원을 투자해야 하는 영국 다나사 유전 개발 현장.
[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에너지 자원개발 공기업인 석유공사가 내년 해외자원개발사업에 투자해야 할 자금은 1조원인이 넘는데 반해 정부 출자 예산은 200억원 수준으로 확정됐다.

1조 규모의 자금을 석유공사가 자체 조달해야 하는데 당분간 영업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추가 차입 이외에 뾰족한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정부 출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석유공사는 내년에 20여 곳에 달하는 국내외 자원개발 사업 현장에 총 1조728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투자가 예정된 사업은 석유공사가 현재 생산 및 개발에 참여한 ‘계속 사업’이거나 해외 자회사들로 예산이 투입되지 않으면 자회사 운영이나 생산, 개발 등에 차질을 빚는 것이 불가피하다.

◇ 내년 투자비 대비 2%에 불과해

국회는 석유공사에 대한 내년 유전개발사업 정부 출자액을 223억원으로 확정했다.

올해 정부 출자 예산인 300억 보다 77억원이 줄었고 당초 정부가 요청한 내년 예산 253억원과 비교해도 30억원이 감소한 것.

특히 석유공사가 내년에 투자하기로 예정한 금액과 비교하면 2.0% 수준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내년 출자금을 석유공사가 참여한 UAE 3개 광구와 미국 이글포드, 이라크 하울러 광구 등 3개 사업에 투자한다는 계획인데 실제 투입 예산과 비교해도 크게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3개 사업에 대한 내년 투자 예상액은 1983억원 규모로 석유공사는 1700억원 이상을 추가 확보해야 하는 것.

특히 영국 다나 생산사업이나 베트남 11-2광구 개발 사업, 동해가스전 배관공사 등 석유공사가 진행해야 하는 나머지 사업과 관련한 1조원 규모의 예산도 석유공사가 직접 조달해야 한다.

◇ 자산 매각, 투자유치도 쉽지 않아

석유공사가 발표한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 따르면 부채비율은 올해 614% 수준에서 2020년에는 1129%로 치솟는다.

과도한 차입으로 이자비용으로만 매년 4000억원 넘게 지불해야 한고 유가 하락 영향으로 개발 자원의 가치가 크게 떨어지면서 올해만 5600억원에 달하는 영업 손실을 기록하는 등 상당 기간 적자도 불가피해 경영 지표 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캐나다 하베스트 등 석유공사가 투자한 자본 잠식 해외 자회사에 추가 자금도 투입해야 한다.

이같은 상황에서 석유공사가 이미 참여한 사업에 내년에만 1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데 자산 매각, 투자 유치 등을 통한 자금 조달도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현재와 같은 저유가 시점에 해외자원개발 자산을 매각할 경우 헐값 매각 시비를 불러올 수 있고 민간 투자 유치나 차입도 경영악화로 어렵거나 차입 금리가 오르는 등 또 다른 재무 압박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정부 지원 최대 또는 최소?, 어떤 경우도 논란 불가피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해외 자산에서 생산되는 원유 등의 매각 수익이 늘어나고 자금 확보에 숨통이 트일 수 있다는 석유공사 자체 전망은 실현 여부가 관건이다.

석유공사는 향후 국제유가가 브랜트유 기준으로 내년에는 배럴당 50불, 2020년에는 65불까지 상승하는 시나리오를 전제로 중장기 재무 상황을 전망하고 있는데 최근 OPEC의 감산 합의에도 불구하고 향후 유가의 하향 안정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정부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다.

 

석유공사가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공격적으로 나서 대규모 손실을 입게 된 근본적인 배경은 ‘석유공사 대형화’를 추진한 정부 정책 때문이었던 만큼 정부의 출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김병선 수석전문위원은 ‘석유공사 재무구조가 크게 악화된 배경은 정부가 2008년에 석유공사 대형화 계획을 발표하고 2013년까지 4조3508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출자를 통해 해외 자산을 매입하면서 초래된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존재한다’며 정부 책임론을 시사했다.

특히 석유공사법에 따르면 공기업인 석유공사의 차입이나 사채 상환은 궁극적으로 정부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어 향후 국제유가가 상승해 영업이익 등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에 근거한 석유공사 자구책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정부가 조기에 필요한 출자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하지만 정부가 출자금을 획기적으로 높이지 않는 한 석유공사의 재무구조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고 캐나다 하베스트 등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해외 자회사에 대한 추가 자금 투입이 이어질 경우 혈세 낭비라는 지적 등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석유공사 경영 정상화와 관련한 정부 역할에 대한 논란은 상당 기간 불가피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