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지앤이타임즈]치킨게임 양상을 보이던 국제원유시장이 극적으로 화해 무드로 전환되는 양상이다.

OPEC이 비공식회의를 열고 오는 11월 열리는 정기총회에서 원유 감산을 전제로 생산량 한도를 재설정한다는 입장에 합의했다.

8월 기준 OPEC 원유 생산량이 하루 평균 3324만 배럴을 기록했는데 11월 합의가 적용되면 3250만~3300만 b/d 수준으로 줄어들게 된다.

물론 그 과정이 순탄해 보이지는 않는다.

11월 정기총회에서 감산과 관련한 개별 국가의 생산 한도가 논의되는 과정에서 생산량을 줄여야 하는 각 산유국의 이해관계가 충돌할 수 있다.

러시아를 비롯한 비OPEC 산유국들도 유가 하락에 따른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어 전반적인 감산 움직임에 동조할 가능성이 크기는 하지만 이들의 협력도 이끌어 내야 하는 숙제도 안고 있다.

어찌됐든 주사위는 던져졌고 원유 자원을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유가가 낮을 수록 소비자 유류비 부담이 줄고 생산 원료비 절감이 가능해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경쟁력에 긍정적인 기능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지배하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2년여에 걸쳐 전 세계 원유 공급 과잉과 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유가가 폭락하면서 경험한 장면들은 저유가가 반드시 경제에 청신호가 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우리나라의 대표 효자 산업인 조선과 해운 산업이 도산하거나 천문학적 적자를 기록하며 경영난을 겪고 있는 것은 저유가 장기화의 결과로 해석되고 있다.

전 세계 경기가 얼어붙고 공장 가동이 줄어들면서 에너지 소비가 감소했고 물동량이 줄어들면서 조선과 해운 수주 일감도 동반 추락하는 연쇄적인 현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있고 관련 산업은 황폐화 되고 있다.

저유가 장기화로 국가 재정에 타격을 입고 있는 주요 산유국들의 오일머니가 말라가면서 국내 기업들이 중동 등에서 플랜트나 건설, 자원개발 등 다양한 영역에 뛰어들 기회도 줄어들고 있다.

결과적으로 최근의 저유가 장기화는 우리 경제에 ‘호재’ 보다는 ‘악재’가 됐다는 평가가 더 설득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다고 2012년의 경우 처럼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120불대를 넘나 드는 고유가가 바람직한 것도 아니다.

다만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대한민국은 에너지 빈국이고 원유 수급이나 가격 리스크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는 점이며 어떤 위기 상황에서도 현명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OPEC의 생산량 조정 합의가 국제유가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 아직은 장담할 수 없지만 최소한 유가가 상승하는 방향이 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이제는 단순히 저유가나 고유가가 좋고 나쁘고의 이분법적인 판단에서 벗어나 유가의 변동성이 국가 경제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주목해야 한다.

유가 등락이 기업과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에너지 수급과 세제를 포함한 가격 결정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